출처: https://m.imaeil.com/page/view/2025100816180126131
한줄 요약: 대구시에서 콜센터를 인공지능으로 운영하는데 사투리를 못 알아들어 논란이라고 한다.

느낀점: 문제가 많네. 사투리를 알아듣는 LLM을 만들기는 어려울려나
궁금한점: GPT같은 해외 LLM은 스코틀랜드 사투리같은걸 알아먹을까?
지식 활용 분야: 컴퓨터과학, 언어학
출처: https://m.imaeil.com/page/view/2025100816180126131
한줄 요약: 대구시에서 콜센터를 인공지능으로 운영하는데 사투리를 못 알아들어 논란이라고 한다.
느낀점: 문제가 많네. 사투리를 알아듣는 LLM을 만들기는 어려울려나
궁금한점: GPT같은 해외 LLM은 스코틀랜드 사투리같은걸 알아먹을까?
지식 활용 분야: 컴퓨터과학, 언어학
https://m.yeongnam.com/view.php?key=20251008021090391
한문장 요약: 대구 사투리는 대구의 지역 특성(분지 지형, 서울 및 바다와 멀리 떨어짐)때문에 언어의 보수성이 강하고, 이러한 이유로 언어의 변화가 느려 중세 한국어의 발화 특징을 여전히 많이 가지고 있어 중세 한국어 연구에 큰 도움이 된다.
나의 생각: 우리가 중세국어를 왜 배워야 할까.
나의 궁금증: 대구가 정치적으로 보수적인 이유에 언어가 영향을 끼쳤을까?
관련 분야: 언어학, 역사학, 지리학
출처: https://www.mindlenews.com/news/articleView.html?idxno=15856
한 문장 요약: 전세계 많은 나라에서 인공지능을 활용해 그전에는 모르던 바빌론 점토판, 플림톤 322등 고대 서적을 해독하고 있으며, 현재 한국의 “조선왕조실록”도 신경망기계번역(NMT)을 통해 해독중이다.
지식 활용 분야: 역사학, 언어학, 컴퓨터과학
08년에 태어나 울산에서 사는 고등학생 권혁준입니다.